남자들은 나이가 많고 적고를 떠나서 팔씨름에 흥미를 가집니다. 저 또한 어렸을때나 지금도 TV또는 유튜브에서 팔씨름 영상을 보면 집중하게 되고 빠져들게 됩니다. 팔씨름을 좋아하시는분 이라면 홍지승 선수라고 들어보셨을 겁니다. 홍지승 선수를 처음본건 몇년전 TV프로그램에서 였습니다. 크지않은 체구 였지만 팔뚝은 굵으셨고 시종일관 웃는 밝은 모습이였습니다. 하지만 팔씨름 할때만큼은 진지한 모습에 이분은 정말 팔씨름을 좋아하시는구나 라는 생각을 갖게 했습니다. 유튜브에서 홍지승 선수의 경기를 볼때마다 항상 재밌고 응원했던 기억이 납니다. 홍지승 선수를 소개하자면 현재 MLA KOREA 치우팀 소속으로 키 170CM 몸무게 80KG며 특기가 훅,훅앤드래그를 사용하고있습니다. 현재 국내 -80KG 오른팔 랭킹1위이며 2015년 한국인 최초로 미국 오하이오 아놀드 클래식 암레슬링 챔피언십 -80KG에서 3위의 성적을 거두었습니다. 다들 한국 팔씨름계의 흥행이 홍지승선수가 방송에 출연한 전,후로 구분짓는 사람들도 많다는걸 알고있습니다. 홍지승 선수는 실력도 실력이지만 한국 팔씨름 부흥에 한몫을 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그리고 홍지승 선수의 대단한점은 낮은 체중에도 불구하고 헤비급 선수들과도 견줄만한 엄청난 경기력을 보여주기도 합니다. 우리나라 동체급에선 최강자로 저도 동체급에서 진경기는 본적이 없습니다. 하지만 작년에 부상이 있었고 어느정도 회복이 되었을때 -80KG 결승전때 심현우선수에게 2:1로 패한적이 있다고 합니다. 패한경기지만 팬으로서 영상을 한번 꼭 봐야할것 같습니다. 팔씨름경기를 보기전 팔씨름의 규정과 기술들을 알고 보면 이해도 되고 더 재밌습니다. 제가 팔씨름의 규정중 중요하고 궁금한것들 몇개를 알려드리겠습니다. 경기 시작전 선수들이 손을 맞잡을때 시간이 많이 걸리는걸 보셨을 겁니다. 양 선수가 손을 맞잡을때는 손바닥과 손바닥이 맞닿아야 하며, 상대방의 엄지를 둘러싸야 하고, 엄지의 첫번째 마디가 반드시 보여야 합니다. 반대편 손은 테이블 측면의 손잡이를 잡아야 하며, 손잡이를 잡은 팔은 테이블에 닿아도 됩니다. 그리고 워닝과 파울이 있습니다. 워닝은 경고라고 하며 2회의 워닝은 1회의 파울로 간주되고 2회의 파울은 1패로 간주됩니다. 파울은 승패와 직결되는 중요한 부분이기 때문에 선수들은 주의해야 합니다. 경기중 호명된 선수는 테이블 앞에 30초 이내에 모습을 드러내야 하는데 그렇지 않을경우 1패로 간주됩니다. 선수의 어깨는 경기중에 양 손잡이 사이의 중앙선을 넘어설 경우, 선수들간 턱,어깨,머리등의 접촉이 있을경우, 고의적으로 손을 상대편 어깨 방향으로 미는 경우 파울이 선언 됩니다. 그리고 슬립아웃을 유도한 선수에게 파울을 선언하게 되는데요. 슬립아웃은 양 선수의 신체접촉이 완전하게 끊어졌음을 의미하며 파울이 선언되지 않았다면 스트랩이 사용됩니다. 경기중 스트랩을 사용하는경우를 자주 보셨을 겁니다. 슬립아웃이 양 선수 모두의 행동에 의한 결과일 경우에만 스트랩이 사용되며 오직 심판만이 스트랩을 묶을수 있습니다. 선수들은 불편함을 느낄 경우 스트랩을 느슨하게 풀거나 위치를 조정해 달라고 요청할수 있습니다. 팔씨름 기술중 가장많이 사용되는 두가지 기술이있습니다. 훅과 탑롤이라고 불러지는 기술입니다. 각각 스킬마다 세부적인 스킬로 나뉘어 집니다. 예를들어 훅은 그냥 훅,훅앤드래그,훅앤프레스 3가지로 스킬이 세분화 되고 탑롤은 탑롤,로우탑롤,포스팅 탑롤이라는 명칭으로 세분화 됩니다.훅은 상대방의 손목을 공격해서 상대방의 팔을 무너트리는 방법이고 탑롤은 상대방의 손가락을 공격해서 무너트리는 방법입니다. 훅은 꺾기 탑롤은 비틀기로 생각하시면 쉽게 이해 되실것 같습니다. 이렇게 팔씨름의 규정과 스킬을 알고 경기를 보게되면 조금 더 재밌게 보실수 있습니다. 저도 앞으로 조금씩 시간을 투자해 팔씨름에 대해 공부하고 훈련을 해보려고 합니다. 끝으로 홍지승 선수가 세계대회에서도 -80KG급 1위가 되는날까지 응원 하며 항상 지켜보도록 하겠습니다. 여러분들도 홍지승 선수 많이 응원해 주시길 바랍니다.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치석 제거후 주의사항 (0) | 2018.01.19 |
---|---|
실업급여 신청방법#3(2차 실업급여 수급 신청_인터넷형) (18) | 2018.01.16 |
실업급여 신청방법#2 (11) | 2017.12.19 |
퇴직금 계산법 (0) | 2017.12.18 |
연차수당 계산법 (0) | 2017.12.17 |